본 연구실은 뉴글라스에 관심이 높았던 지난 93년, 과학적 지식으로 새로운 유리 재료 및 그 적용기술을 창조하는 “유리과학기술화”를 목표로 설립되었습니다. 그 동안 40여명의 석사 및 박사 학위자가 배출되었고, 주요 연구개발은 유리재료의 제조-구조-물성의 상관 및 이를 활용한 최적의 응용조건 확립 등이며, 주로 이론과 실험에 충실한 학술적 연구와 대학기술의 산업체 이전을 목표로 하는 응용연구가 병행되고 있습니다.
- - 유리·광학재료 설계
- - 기능성 법랑 연구개발
- - 산업기반 유리재료의 연구개발
주요 연구 분야
- - 법랑코팅 기술 개발
- - 냉장고 단열 소재 연구
수행중인 연구 과제
반도체 소자와 전자 디스플레이 관련 박막 제조 및 평가 연구로 출발했다. 클래드 금속, 금속 기판에 폴리머 코팅을 포함한 이종 소재에서 본딩력 평가 연구도 수행 중이다. 표면개질의 원리와 계면 공학에 기초한 다층층상 소재에 관한 연구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및 박막 코팅 산업 분야로 진출이 유망하다.
- -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용 박막 코팅
- - 표면과 계면에 기초한 다층박막 연구
- - 박막 혹은 도장층의 본딩 강도 측정
주요 연구 분야
- - 소수성-발수성 조절용 표면개질 기술
- - 플라즈마 코팅과 에칭 응용 연구
- - 이종 소재 복합재의 본딩력 측정 기술
수행중인 연구 과제
본 연구실에서의 주요 관심분야는 세라믹스의 열적, 화학적, 기계적 성질을 주로 이용하는 구조세라믹스의 제조 및 특성평가이다. 아울러, 고상법, 액상법, sol-gel법 등을 이용한 세라믹 기반 기능성재료, Tissue engineering용 3차원 scaffold, bone graft 재료용 HA, TCP, BCP powder 합성 및 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또한, 세라믹엔진, 버너노즐, 고온열교환기, 디젤엔진 등을 다루는 학문을 연구하며, 세라믹공정을 통한 산업폐기물의 고부가가치 자원화 연구를 수행합니다.
- - 생체재료, 나노복합체
- - 기능성 나노재료
주요 연구 분야
- - 지능형 약물전달시스템 응용을 위한 나노재료/클리이 혼성체 기반의 다기능성
스마트 모듈시스템 개발 - - 자동차 내장재용 다기능성 스마트 폴리우레탄 폼 개발
- - 칼슘포스페이트 micro-granule 및 간엽줄기세포와의 자기조립에 의한
3차원 in-situ 골 재생 지지체
수행중인 연구 과제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태양전지와 수전해를 주축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태양전지 연구는 고효율 3세대 박막태양전지의 제작 및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Co-Sputter, Evaporation 등의 진공 증착 및 전기화학적 증착 제조공정을 개선하고 재료의 특성을 분석하여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수전해 연구는 수전해용 촉매를 제작하고 전극을 제조하여 Cell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Galvanic, Hydrothermal, coprecipitation 등의 합성 공정을 통해 고효율 촉매제작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 - 태양전지 제조공정 및 특성분석
- - 수전해 촉매, 전극 제조 및 특성분석
주요 연구 분야
- - 태양광 에너지 지속가능 활용 연구센터
- - 재생에너지 연계형 알칼리 바닷물 수전해 시스템의 고효율 전극 촉매 개발
- - 화학동 전착 조건에 따른 ABF/Cu 계면 밀착력 변화 메커니즘 연구
수행중인 연구 과제
본 연구실에서는 PVD와 CVD를 이용한 박막재료의 제작 및 평가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에 대응하기위해 수처리 전극 및 환경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고효율 대면적 B-doped diamond 박막의 합성 및 평가와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변색재료(Chromism)박막, 에너지 하베스팅 분야에 활용되는 열전재료, 광촉매 박막 및 하이브리드구조를 활용한 고효율 면상발열체, 열선반사막 코팅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디스플레이의 핵심소재인 투명산화물 반도체와 연료전지용 분리막 코팅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 Plasma 공정 설계 및 박막 물성평가
- - 수처리 및 폐기물 처리를 위한 불용성 양극전극 및 시스템 설계
- - 열전재료, 광촉매, 하이브리드구조 면상 발열체
- - 투명산화물반도체, 연료전지용 분리막 코팅
주요 연구 분야
- - 고효율 전도성 산화물 박막 재료 개발
- - 감성 터치센서용 ITO 초박막 기술 개발
- - Flexible display용 저투습 산화물 보호막 제조기술 개발
- - 의료용 X-선 검출센서용 광도전체 및 전극재료 개발
- - 고효율 고 내구성의 불용성 양극전극개발
수행중인 연구 과제
본 연구실에서는 고효율, 장수명 에너지 변환/저장 재료 및 소자를 연구합니다. 특히, 전기화학의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이차전지 및 수퍼 커패시터, 연료 전지의 성능 지배 인자 및 열화 기구를 이해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기자동차용 차세대 이차전지, 태양전지-이차전지 융합 에너지 소자 등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고, 대학원 교육을 통해 전기화학 및 이차전지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 - 고용량, 고출력 에너지 변환 장치 (이차전지, 커패시터, 연료전지)용 전극소재
- - 전기화학적 에너지 변환 장치의 열화 메커니즘 규명
- - 계면 반응과 물질 이동의 이론적 해석을 바탕으로 한 전기화학 거동 분석
주요 연구 분야
- - 전기화학적 방법을 통한 전고체전지 성능 개선
- - 초급속 충전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용 전지 시스템 개발
- - 태양전지-이차전지 융합소자 연구
수행중인 연구 과제
최근 다기능성 부품 및 제품의 요구에 따라 각종 산업 전반에 걸쳐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소재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로 재료 설계와 제조단계부터 특성평가, 고장분석 및 수명예측 적용까지의 연구를 진행하고, feedback을 통한 재료의 특성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 - 하이브리드 소재 설계 및 신뢰성 연구
- - Perovskite계 전자재료, 다공성재료, coating소재
- - 파인세라믹스 분체 특성 평가 기술 표준화 연구
주요 연구 분야
- - 파인세라믹스 원료소재 국산화 기반조성을 위한 국제표준화
- - 표면제어소재의 내구성 평가 및 수명예측 기술
- - 선박용 저온형 De-Nox SCR 촉매 재료개발 및 신뢰성 연구
- -47μF급 MLCC 1005 제품을 위한 50~80nm BaTiO3 재 및 소자 제조 기술개발
수행중인 연구 과제
전 세계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고유가 시대와 CO2 방출 억제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친화형 기술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본 실험실에서는 1GPa급 이상의 고강도 철강소재와 해양플랜트용 QT강재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 입니다. 철강재료의 가공 및 열처리에 따라 미세조직과 제 2상 형성을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재료 물성의 거동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철강의 고강도화에 따라 발생하기 쉬운 수소지연파괴 메커니즘 분석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 입이다. 자동차 전장제품에 필요한 Pb-free micro – joining 소재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 - 자동차 및 해양플랜트용 고강도 철강소재
- - 용접부 수소지연파괴 메커니즘
- - Pb-free soldering 소재개발
- - Laser 용접
주요 연구 분야
- - 고부가 금속소재 전문인력양성사업
- - 액체수소 저장 탱크용 용접재료의 수소취성 평가
- - 심해용 저온인성 및 건축용 저항복비 특수형강 개발
- - FCC계 금속용접부의 용접기술별 내수소취성 분석
- - 100 um 이상 높이의 구리기둥 및MLCC 실장 적용 판넬 레벨 패키지 구현을 위한
초고속고균일 도금소재장비 개발 - - 증기터빈 로터블레이드용 630℃급 페라이트계 내열강 및 부품 개발
- - 적층성형용 저비용 Ti합금 솔리드 필러 및 이를 활용한
1000mm급 발전용 최후단 블레이드 제조기술 개발
수행중인 연구 과제
불균일한 재료의 미세조직과 기계적/물리적 거동 사이의 상관관계를 삼차원 미세조직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규명하며, 이를 통해 최적화된 미세조직을 디자인 할 수 있는 여러가지 전산재료적 방법들을 연구합니다. 또한, 재료의 멀티스케일 거동기구들의 특성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재료의 멀티스케일 거동들을 예측할 수 있는 툴들을 개발하며, 이러한 전산재료 툴들을 이용하여 고기능성 신소재를 설계 및 평가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 - 삼차원 재료과학에 기반한 전산재료공학
- - 불균일재료의 마이크로, 매크로 모델링
- - 재료의 미세구조-거동의 상관관계에 관한 전산적, 실험적 접근법
- - 첨단 우주항공재료의 기계적 거동 예측
주요 연구 분야
- - 주요금속간 화합물의 강화기구에 기반한 초기소성모델 개발
- - 단결정의 결정소성모델링에 관한 기초적 연구
수행중인 연구 과제
본 연구실에서는 원자단위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원자층 증착법 (ALD; Atomic Layer Deposition) 과 Bottom-up/Top-down 하이브리드 나노공정을 이용한 스마트 기능성 나노소재와 나노구조체 설계 및 합성에 대한 연구 및 MEMS 공정을 통해 고성능 나노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ALD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소재의 인공적인 설계ㆍ합성을 통해 새로운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 - 고성능 나노소자 구현을 위한 스마트 기능성 나노소재의 설계 및 합성기술
- - ALD를 이용한 인공인터페이스 설계 및 합성
- - 고정렬된 나노구조체 어레이 제작기술
주요 연구 분야
- -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 (Global Frontier Project)
- - 고효율 CIGS 태양전지 개발을 위한 고신뢰성 ALD-ZnO 기반 buffer layer에
관한 연구 (SK innovation)
수행중인 연구 과제
나노소재를 원자단위로 디자인/합성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고성능 촉매 및 에너지 생산/저장 특성을 구현한 다음 유연한 전자소자 플랫폼에 적용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웨어러블 에너지소자/헬스케어기기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In order to solve current energy crisis and environmental problems, we need to design materials with high stability, activity and selectivity for renewable energy. These applications include solar cell, fuel cell, secondary battery and biofuels, and aim to reach their ultimate efficiencies through material science.
- - Plasma engineering
- - Fuel cell
- - Water Electrolysis
- - Biofuel
- - Metal-Air Batteries
Main Research Areas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제품의 고성능화, 고집적화 및 경량화를 만족시키기 위한 신소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기존 구조소재의 물성한계를 뛰어넘는 첨단구조재료 개발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금속 상변태 및 미세구조 제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 합금 및 복합소재 설계와 기계적, 열적 특성 평가, 기계적 거동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 금속기지 복합소재 개발
- - 고엔트로피 형상기억합금 개발
- - 이종 소재 레이저 용접기술 개발
주요 연구 분야
- - 고온 액츄에이터로 적용 가능한 고엔트로피 형상기억합금 개발
- -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초내열 복합소재 연구
- - 전기차 배터리 핵심부품용 이종소재 적용 제조기술 개발
- - 650급 내환경성 초내열합금 및 블레이드 제조 기술 개발
- - 발전 부품 적층 제조를 위한 타이타늄합금 분말 저비용 제조기술 개발
수행중인 연구 과제
인류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빅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전자소자 기술은 기존 소재들이 가지는 한계를 벗어나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신소재의 개발을 시작점으로 하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실에서는 기능성 나노 신소재의 합성연구를 시작으로 이종 원소의 도핑, 계면제어 및 융복합화를 통해 차별화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나노복합소재 발굴에 연구의 중심을 두고 있습니다. 아울러, 소재개발의 기초연구를 초석으로 고유의 전기적, 화학적, 기계적 성질을 활용한 지능형 디바이스 개발을 위해 소자 디자인 및 특성을 평가하는 응용연구까지 수행하고 있습니다.
- - 저차원 나노소재 합성 (Chemical vapor deposition,solution method)
- - 표면기능화를 통한 이종소재간 계면특성 연구
- - 다기능 융/복합 나노소재 개발 연구
- - 차세대 고성능 전자소자 적용 연구
주요 연구 분야
소재를 층층히 쌓아 올려 제조하는 적층제조 및 3D 프린팅 기법은 레이저의 성능과 컴퓨터 활용 설계기법의 발달에 따라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레이저를 통해 적층제조된 금속소재의 미세구조적 이해를 바탕으로 공정을 제어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있는 재료공정의 설계와 함께 미래에 적층제조로 응용될 형상기억합금 등 적층제조용 기능성 신소재의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 형상기억합금
- - 재료공정설계
- - 적층제조
주요 연구 분야
수소는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서 점점 더 중요한 화학 및 에너지 매체가 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수소의 전기화학적 에너지 변환을 위한 고체산화물 기반 세라믹 신소재와 이들로 구성된 전지에 대해 탐구합니다. 전기화학적 분석법과 다공성 구조체 형상 정량화를 연계하여, 전극/전해질의 계면 반응 및 재료 고유의 전기화학적 특성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기능성 재료 설계, 공정, 및 특성화 관련 연구들을 통해 전력 및 그린수소 생산이 모두 가능한 고효율 세라믹 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친환경 수소에너지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 - 연료전지/수전해 반응 및 열화 메커니즘 분석
- - 고효율 에너지 변환 장치용 나노 산화물 촉매 개발
- - 차세대 고체전해질 전지 및 공정 개발
주요 연구 분야
양자 물질에서 일어나는 발현 현상을 이해하고 제어하는 능력은 미래 양자 기술의 선도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전이 금속 산화물 박막에서 발현되는 고온초전도 현상에서부터 초거대 자기저항 및 다강성 효과 등 다양한 물성 연구들는 지난 반세기 동안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원자 단위 정확도의 에피 박막 형성 기술과 물성 측정 기술을 활용하여 산화물 기반 양자 물질을 구현하고, 발현 현상을 깊이 이해하고자 합니다. 더 나아가 그 현상을 제어하여 물질의 응용 가능성을 여는 연구를 수행할 것입니다. 에피박막 및 헤테로 구조 물질은 덩이(bulk) 상태와는 다르게 차원 제한(dimensional confinement), 대칭파괴(symmetry breaking), 그리고 구조변이 등이 가능해 덩이 물질에서는 잘 볼 수 없었던 물성을 탐구할 수 있는 좋은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 -복합 산화물 박막/ Free-standing oxide membrane
- -차세대 양자 소재 합성 및 물성연구
- - 미래 에너지 물질 연구
주요 연구 분야
나노스케일 재료들은 높은 표면적을 통해 향상된 물성뿐 아니라 양자 구속효과로 인해 벌크 소재와 다른 독특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나노신소재의 특성을 극대화시키고 차세대 첨단소자에 적용시키기 위해서 기존 공정법과 차별화된 기술들을 활용해 초고해상도로 패터닝하는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개별적으로 양자 구속효과를 나타내는 나노입자를 단일 입자 단위로 정밀하게 위치제어 시키는 기술은 차세대 양자소자, 센서, 에너지소자 등 여러 분야에 새로운 폼팩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자기조립 기반 초정밀 패터닝, 초고해상도 전사 프린팅 기법 등 첨단 공정들을 개발하고 활용해 기존에 다루기 어려웠던 나노, 아토믹 스케일 신소재를 적용시킨 소자를 제작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 - 초고해상도 퀀텀닷 패터닝
- - 차세대 나노공정기술 개발
- - 어레이 기반 소자 개발